728x90
반응형
SMALL
💡 지난 글에서 이어서
이전 글 “월급 200만원으로 1년 만에 500만원 모은 비결”에서는 돈을 모으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지출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라는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비를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전글 보러가기
고정비가 중요하다
지출을 통제하려면 먼저 ‘줄이기 쉬운 지출’이 아니라, ‘매달 자동으로 나가는 고정 지출부터 손봐야 합니다. 커피 한 잔 줄이는 것보다 통신비나 구독료를 조정하는 것이 훨씬 큰 차이를 만듭니다.
고정비를 한 번만 정리해두면, 별도의 노력 없이도 매달 저축 가능한 금액이 늘어나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가장 먼저 줄여야 할 5가지 고정비
- 1. 통신비 (휴대폰 요금)
알뜰폰 요금제로 전환하면 월 3~4만 원까지도 절약이 가능합니다. 특히 데이터 사용이 적다면 1만 원대 요금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 2. 월세/관리비
위치, 시설보다는 본인의 수입에 맞는 집을 선택해야 합니다. 교통이 조금 불편해도 월세가 10만 원만 저렴하면 1년간 120만 원이 절약됩니다. - 3. 구독 서비스 (OTT, 음악, 뉴스 등)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멜론, 웨이브… 가입한 건 많은데 자주 쓰지 않는다면 과감히 정리해야 합니다. 월 3~5만 원도 무시 못할 고정비입니다. - 4. 보험료
필요 이상의 보장성 보험은 없는지 점검해보세요. 납입 기간이 길거나 중복 보장이 있는 상품은 조정이 필요합니다. 전문가 상담을 받아 리모델링하는 것도 좋습니다. - 5. 커피/편의점 정기지출
고정비는 아니지만 ‘습관처럼 매일 나가는 돈’은 고정비로 간주해 관리하는 게 좋습니다. 하루 3,000원 × 20일이면 월 6만 원이 넘습니다.
이렇게 바꾸면 매달 20~30만원 절약 가능
위의 항목 중 절반만 줄여도 매달 20만 원 이상은 절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통신비 + OTT + 편의점 지출만 줄여도 연간 200만 원 이상 절약 효과가 생깁니다.
이런 고정비 절약이 바로 ‘저축 자동화의 첫 단계’가 되는 것이죠.
절약은 ‘불편함’이 아니라 ‘자유’를 위한 선택
지출을 줄인다고 해서 꼭 생활의 질이 떨어지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진짜 필요한 소비에만 집중하면 삶이 더 가벼워지고, 경제적 여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다음 글 예고
이제 고정비를 줄였다면, 월급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20대 직장인을 위한 월급 분산 관리법’을 소개할 예정이니, 함께 실천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LIST